목록frontEnd (61)
개발일지
MDN 문서 화살표 함수 표현식(화살표 함수 expression)은 함수 표현식에 대한 간결한 대안으로, 약간의 의미적 차이와 의도적인 사용상의 제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화살표 함수에는 자체 바인딩이 this에 없으며, 인수 또는 super로 사용해야 하며, 메서드로 사용하면 안 됩니다. 화살표 함수는 생성자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new로 호출하면 TypeError가 반환됩니다. new.target 키워드에 대한 액세스 권한도 없습니다. 화살표 함수는 함수 내부에서 yield를 사용할 수 없으며 제너레이터 함수로 생성할 수 없습니다. 화살표 함수는 ES6 문법에서 새롭게 도입된 함수 표현식에 대한 간결한 대안입니다. 화살표 함수에는 자체 바인딩이 this에 없으며 화살표 함수 안에서 this를 사용하면..

먼저 읽으면 좋을 글 ! var, let, const - https://puringles.tistory.com/743 호이스팅 ( hoisting ) - https://puringles.tistory.com/744 TDZ란? 일시적 사각지대 스코프의 시작 지점부터 초기화 시작 지점까지의 구간을 말합니다. JavaScript에서 변수는 선언, 초기화, 할당이라는 3가지의 단계에 걸쳐 생성됩니다. 선언 단계(Declaration phase) : 변수를 실행 컨텍스트의 변수 객체에 등록하는 단계를 의미합니다. 이 변수 객체는 스코프가 참조하는 대상이 됩니다. 초기화 단계(Initialization phase) : 실행 컨텍스트에 존재 하는 변수 객체에 선언 단계의 변수를 위한 메모리를 만드는 단계 입니다. 이..
호이스팅 ( Hoisting ) JavaScript 호이스팅은 인터프리터가 코드를 실행하기 전에 함수, 변수, 클래스 또는 임포트( import )의 선언문을 해당 범위의 맨 위로 끌어올리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뜻합니다. 즉 JavaScript 변수가 어떤 의미에서 함수나 문의 최상단으로 "올려지는" (혹은 "끌어올려지는") 것을 말합니다. 하지만, 끌어올려진 변수는 undefined 값을 반환합니다. 그래서 심지어 이 변수를 사용 혹은 참조한 후에 선언 및 초기화하더라도, 여전히 undefined를 반환합니다 이러한 자바스크립트 동작방식에 의해 사용자에게는 var로 선언한 변수, 함수 선언문은 호이스팅에 의해 가장 상단에 끌어올려지고 const나 let으로 선언한 변수 그리고 함수표현식은 참조 에러가..

JavaScript의 시작과 꽃(?)이 아닐까...? 열심히 외웠는데 항상 다시 초기화된다. 이제는 어느정도 개념이 머릿속에 박혀있지만 여전히 말로 풀어내는 게 되질 않아서 최대한 말로 하는 연습을 하기 시작했다. var let const 차이점 간단 포인트 ! 변수 선언, 초기화, 할당 var: 중복 선언, 재할당 모두 가능 ex) var a= 1; var a= 2; 가능 let:중복 선언 불가 재할당 가능 ex) let a= 1 ; a=2; 가능 const:중복 선언, 재할당 모두 불가능 스코프 var : 함수 레벨 스코프 let, const : 블록 레벨 스코프 var는 유연한 변수 선언이 가능하기 때문에 간단한 테스트에는 편리 할 수 있지만, 코드량이 많아 진다면 어디서 사용되고 있는지 파악하기도..

전송계층은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하는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으로, 데이터의 전달을 담당합니다. 그리고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TCP와 UDP입니다. *프로토콜 :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지 형식에 대한 규칙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전송 제어 프로토콜 )란?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메세지의 형태로 보내기 위해 IP와 함께 사용하는 프로토콜입니다. IP(Internet Protocol)가 인터넷 프로토콜로서 복잡한 인터넷 망 속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통신할 수 있게 IP 주소와 패킷과 같은 규칙을 통해 통신을 하게 하는 것이라면, TCP는 IP 규칙으로만 통신하기에 부족하거나 불안정하던 여러 단점들(패킷 순서..

시작은 니콜라스와 함께 ( 니콜라스 감사해요 !! ) https://www.youtube.com/watch?v=tosLBcAX1vk HTTP는 상태가 없는 (Stateless)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서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하게 될 경우 어떤 사용자가 접속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쿠키 또는 세션을 사용하여 사용자를 구분하고 각 사용자에 맞는 정보를 제공한다. Cookie? 쿠키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방문한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에 저장하는 작은 파일 클라이언트의 브라우저 메모리 혹은 하드디스크에 저장 대략 4KB까지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유효 기간이 존재 대부분의 브라우저가 지원 클라이언트에 저장되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음 Session? ..